이미지

 분석의 필요성

  1. 전자입찰의 탄생비화
  2. G2B 시스템은 그냥 만들어 진것이 아니다
  3. 운은 노력이후에나 오는 것이다

 1. 전자입찰의 탄생비화

이미지

전자입찰에 대한 역사부터 알아야 된다고 생각된다. 주로 G2B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다.



1995년부터 계획된 G2B 시스템은 조달청을 주관기관으로, 기획예산처 등 10개 부처가 공동 구성한 ‘G2B 지원협의회`를 기점으로 54개 유관기관으로 추진체계를 확대한 뒤 23개 공공기관과 24개 협회 및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분석 워크숍 등을 통해 국제 표준분류체계(UNSPSC)에 맞게 출범하게 되었다.



2000년 후반기 부터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입찰도 대행을 시작하였다. 물론 초창기에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전자입찰을 도입하는것에 대해서 불만이 많았다. 대부분의 업무담당자들은 일본처럼 전자입찰이 실패할 것이라는 의견들을 내놓고 있었고,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은 전자입찰을 거부하는 움직임들도 많았다.



아마도 가장 큰 이유가 "입찰참가 수수료" 때문이었을 것이다. 두번째 이유로는 G2B 시스템의 안정성이 나쁘다는 것이었다. 실제로 초창기 전자입찰에는 현장입찰이 아님에도 불고하고 "입찰참가 수수료"가 여전히 존재했었고 입찰건당 10,000원씩 하는 경우도 있었으니 그 금액은 상당했을 것이다. 손을 놓기에는 아까운 금액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대세는 거스를 수가 없었다.



G2B 시스템의 안정성 문제는 1년 정도안에 해결이 되었다. 물론 그 1년 사이에 지방자치단체중의 한곳이 자체 시스템을 운영하다가 지역회사와의 비리가 드러나는 바람에 난리가 난적도 있었지만(어쩌면 그 사건이 G2B 시스템을 더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안정성은 별 문제가 되지 않았다.



2001년 이후 지방자치단체로의 전자입찰이 확대 되면서 G2B 시스템은 온전하게 자리를 잡는다. 그러나, 여기 저기에서 들려오는 담합설이나 해킹관련 문제 들에 노출되기도 했다. 2004년도에는 조달청 담당자의 불법 비리가 포착되었다는 뉴스가 나왔지만 5일만에 무혐의 판결이 난적도 있었다.



하지만 조달청은 사소한(?) 문제들을 뒤로 하고 끊임없이 성장하여 최근에는 불법투찰 징후포착 시스템, 조달청 자료의 퍼나르기등을 방지하는 여러가지 부가적인 시스템등을 개발하여 문제가 생길 소지들은 상당부분 제거하였다. 특별한 큰일이 생기지 않는한 G2B 시스템은 계속될 것이다



  계속...